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버츄얼 유튜버/포크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문서 상단에 설명을 위한 이미지를 '파일:키즈나 아이.png'와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를 사용.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문서 상단에 설명을 위한 이미지를 '파일:키즈나 아이.png'와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를 사용.
토론
- 대한민국 버튜버 문단에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의 버튜버에 대한 거부감 서술, 인터넷 인기글 근거로 서술 및 관련 링크 기재, 해당 부분만 NPOV 적용.
토론
- '한국의 버츄얼 유튜버 시청자들이 볼만한 일본 버튜버가 없다고 느낀다'는 내용을 삭제.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아바타 === 보통 버튜버용 캐릭터 가격은 [[케바케]]긴 하지만 기성품 3D 캐릭터 < 주문 제작 2D 캐릭터 <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 순으로 비싸다고 알려져 있다. 기성품 3D (속칭 3D [[뚜따]])가 저렴한 이유는 애초에 [[VRoid Studio]]나 [[VRChat]] 등 여러 유저들이 쓸 수 있는 속칭 '공용 아바타'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Live2D는 기성품을 가져다 커스텀하는 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가볍게 버튜버 놀이를 하는 방송인들이 샘플 캐릭터를 갖다 쓰는 정도로만 쓰이며, 본격적으로 버튜버 활동에 뛰어든다면 자신의 캐릭터성을 반영한 아바타가 필요한데 기성품 3D 아바타를 파츠별로 분해 조립하고 모델링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으로도 기본적인 캐릭터성은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버튜버 활동을 막 시작한 방송인은 기성품 3D 아바타를 [[뚜따]][* 원래는 PC 조립에서 쓰는 용어지만, 이쪽에서는 앞서 설명한 기성품 파츠 조합 및 커스터마이징을 뜻한다.]하여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반면 버튜버들이 주문 제작 의뢰를 하는 경우는 당연히 기성품 아바타 수준을 넘어서 다른 방송인과 차별화되는 요소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퀄리티를 따질 수밖에 없다. 계약 조건에 따라서는 의뢰한 버튜버 방송인이 저작권을 완전히 인수하기도 하기 때문에 당연히 저작권 관련 비용도 추가된다. 사전에 원작자와 상의해서 저작권 관계를 정리 해둬야 한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6738325|#]] 안그러면 추후 굿즈 등을 내려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심각해지면 저작권 침해 배상을 해야 할 수도 있다.[[https://youtu.be/4z38buyw4Y0?t=31|#]] [[Live 2D]]가 양산형 3D보다 비싼 이유는, 반드시 주문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2D 그림 기반이다보니 3D 아바타처럼 '파츠'를 조합한다는 개념이 없어서, 제작자인 일러스트레이터가 일일히 각도별, 표정별로 파츠를 다 그려야 하고, 제작자인 리거가 [[리깅]]하는 과정에 품이나 시간이 많이 든다.[* 파츠별로 하나하나 다 연결해줘야 하는데 상당히 노가다 작업이다.[[https://youtu.be/5cGoHiaX8uE|#]] ] 특히 실력있는 리거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주문 제작 3D 캐릭터가 제일 비싼 이유는 3D 모델링 캐릭터가 눈에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고품질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고품질로 뽑아내는게 힘들었으나 기술이 발달하고 노하우가 축적되면서 2D 모델링 수준의 3D 모델링 품질을 뽑아내는게 불가능하진 않게 됐다. 먼저 3D로 데뷔하고 몇년이 지나서야 2D를 공개한 [[사쿠라 미코]]의 경우 2D 모델링이나 3D 모델링이나 품질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을 정도다.[[https://youtu.be/u1Hu6arfhEo?t=72|#]][* 왼쪽이 3D고 오른쪽이 2D다.[[https://i.ytimg.com/vi/u1Hu6arfhEo/hq720.jpg|해당 키리누키 영상의 스틸 비교샷]] ] 하지만 [[페이셜 트래킹|표정]] 및 [[모션 캡쳐|팔다리 움직임까지 캡쳐]]해 주는 장비의 가격이나 스튜디오 운영 비용 등이 포함되는게 문제다. 이 때문에 아이폰으로 집에서 방송할 수 있는 Live 2D가 나오기 이전에는 회사마다 버튜버가 한두 명만 있는 경우가 많았다.[[https://youtu.be/irUHZNh1Rkg?t=65|#]][* 한국 버튜버 방송계에서는 이런 작업을 버튜버 방송인의 개인 사비와 팬들의 자원봉사로 메우는 경우가 많지만, 결국 이를 구축하고 설정하고 조정하는 것이 다 돈이 드는 일이다. 게다가 재능기부란 명목으로 행해지는 팬들의 자원봉사는 결과적으로 [[열정 페이]]와 구분하기 힘들 수 있다. 실제로 2025년에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작업 시스템 관련 논란|이와 관련한 논란]]이 발생한 적도 있다. 일본 버튜버 회사들이 꽤 큰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감수하면서도 팬들의 자발적 지원을 받는 것을 조심스러워하는 이유도 결국 저작권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3D 모델링 캐릭터가 눈에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고품질이어야 한다는 말을 부연 설명하면, 다른 게임이나[* 일부 게임의 경우는 기술력이 부족한 경우 아예 긴머리를 안 넣기도 하고, 이게 PC 논란을 부르기도 한다. 오히려 [[스텔라 블레이드]] 같은 게임이 이례적인 경우다.] 3D 모델링처럼 3D 오리지널 아바타를 제작할 때도 긴 머리카락, 긴 치마, 가슴과 팔이 느슨하게 이어지는 의상 (오프숄더, 망토, 숄 등)등은 구현하기 어렵다. [[https://youtu.be/a_dO25bl-SE|#]] 이런 요소들을 아바타에 붙일 때는 충돌 영역 (Collider)을 제대로 꼼꼼히 설정해 주지 않으면 머리카락이나 옷자락이 몸을 뚫고 들어간다거나 특정 부위가 마구 발광을 하며 진동하는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 신체 쪽에서는 어깨나 겨드랑이 쪽이 처리하기가 힘들다. 이 부분을 잘못 처리하면 사탕 포장지처럼 팔이 꼬여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3D 업계에서는 아예 이런 현상을 캔디 워랩 (Candy wrap)이라고 부른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515648&memberNo=873146|#]] 홀로라이브를 예로 들면 [[츠노마키 와타메]]의 [[https://youtube.com/shorts/dNcb3wUGf2w|긴머리와 망토 모델링]]과 [[나키리 아야메]]의 [[https://youtube.com/shorts/-mKhvVkomf0|오프숄더 의상]]을 예로 들 수 있다. [[3D 멀미]]가 심해서 아예 시도하는 걸 포기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보통 3D 모델링 캐릭터가 없으면 3D 방송 같은 컨텐츠를 할 수 없어 방송 콘텐츠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특히 [[댄스]] 방송이나 [[링피트]] 등의 운동 방송 같이 몸을 쓰는 콘텐츠는 2D 판때기만 띄운 상태로는 몸동작 전달이 어렵다. 그래서 3D 캐릭터가 없는 버튜버들은 어떻게든 이를 때우려고 노력한다. 3D 대용으로 캐릭터 입간판 같은 이미지를 달고 방송하기도 하고, [[스몰 캐릭터]] 같이 [[데포르메]]된 [[SD 캐릭터]]로 대신하기도 한다.[* 거의 기성품 3D 캐릭터와 비슷한 퀄리티지만 신체 비율이 작아 동작이 귀엽게 보여서 많이 쓰인다.] 보통 개인 버튜버는 가볍게 시작하는 경우 3D 뚜따, 조금 진지하게 시작하는 경우 Live2D로 시작하는 편이다. 아이폰만 있으면 카메라로 트래킹이 되므로 진입하기 쉽기 때문이다.[* 진입 장벽이 낮은 이런 쪽은 [[자캐]] 걸어놓고 잡담, 게임 방송하는 이른바 [[듀라한(속어)|듀라한]] 방송과 그렇게 크게 차이나지도 않는다. 표정이나 몸짓이 아바타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는 점에서 더 발전됐다는 차이만 있다.] 3D 뚜따라고 '덜 진지하다'라고 판단할 근거는 부족할 수 있으나, 적어도 비용 투자 면에서는 Live2D 쪽이 더 큰 비용을 투자하면서 진입하는 게 사실이다. 처음부터 3D 오리지널 아바타를 가져오는 건 기업 입장에서도 부담이 가는 지출이라, [[dooby3D|두비]]같이 본인이 아바타 제작자가 아니고서야 개인 방송인이 데뷔 때부터 3D 아바타를 준비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엄밀히 따지면 두비는 재데뷔한 것으로 이 분야 경력자로 일하며 모은 돈으로 3D 아바타를 마련한 거라 진짜 초짜 데뷔는 아니다.] 기업세 버튜버는 회사 성향에 따라 Live2D로 시작하거나 또는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시작하는 편인데, 아무래도 Live2D로 시작한 버튜버들도 앞서 말한 이유로 어느 정도 이상 성공하면 3D 모델링 캐릭터를 갖추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일례로 [[홀로라이브]]와 [[니지산지]]의 경우 데뷔는 2D로 하고 나중에 어느 정도 인기가 생기면 3D 캐릭터를 만드는데, 그때까지 생긴 [[밈(인터넷 용어)|밈]]이나 본인의 특징 등을 모델에 적절히 반영시킨다. 3D 캐릭터가 있다고 해서 2D 캐릭터를 안 쓰고 버리는 일은 없는데, 이는 단순히 개인이 자택에서 3D 캐릭터로 방송을 하기에는 모션 트래킹을 할 수 있는 스튜디오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3D 뚜따로 시작한 경우도 방송이 성장함에 따라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바꾸려 하는 경우도 많은데, 대표적으로 [[이세계아이돌]]이 3D 뚜따로 시작해 고퀄리티 주문 제작 3D 캐릭터로 교체한 사례이다.[* 이세계아이돌의 경우 뚜따 모델링의 원작자들과 합의를 거쳐 원작자에게 직접 오리지널 3D 캐릭터 제작을 맡겨 기존의 이미지를 그대로 이어나갔으며, [[BOOTH]] 캐릭터 제작자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3D 캐릭터 제작의뢰를 받지 않아 대기줄이 없다시피하기에 고퀄리티의 캐릭터 모델링을 원만하게 받을 수 있었다.] 2020년대 이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서 가격이 비싸졌다. 인기 일러스트레이터와 리거의 경우 거의 1년 이상 작업량이 밀려 있을 정도라고 한다. 애초에 일러스트레이터나 리거들 중에 이런 버튜버 캐릭터를 만들어본 사람이 별로 없는데, 그마저도 여러 방송인의 캐릭터를 마구 받아서 만들면 나중에 신의상 제작 등 수정이나 추가 요구가 있을 때 해야 하는 작업이 더 늘어나기 때문에 의뢰를 많이 안 받으려고 한다. 의뢰를 받는 제작자도 개인세인 버튜버가 대금을 지불하지 않거나, 나중에 트러블이나 스캔들이 일어나 커리어 평판에 악영향을 끼칠까 우려해 기업세 버튜버의 의뢰만 받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 시청자수가 꽤 많은 [[탬탬버린]]도 버튜버 캐릭터를 의뢰할 때 돈을 많이 주겠다고 해도 제작자를 구할 수가 없어서 고생했다고 한다.] 업계 상위권 업체인 [[홀로라이브]]나 [[니지산지]]도 데뷔하자 마자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를 주진 못하고 일정 수 이상 구독자를 달성하면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생각보다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를 만드는 게 시간도 많이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드는지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live DEV_IS|hololive DEV_IS]] 소속 그룹인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ReGLOSS|ReGLOSS]]의 경우 춤과 공연이 중심이 되는 아이돌 활동을 표방한 그룹이라는 특성상 주문 제작 3D 모델링 캐릭터가 필수임에도 데뷔 때 바로 만들어주지 못했다. 업계 상위권 업체인 홀로라이브마저 이럴 정도니 다른 버튜버들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약간 거품이 껴있다는 평가도 있으나 국내의 경우도 아바타 제작 업체를 이용하면 2D는 200만 원대부터, 3D는 1000만 원대부터 시작한다고 한다.[[https://www.dogdrip.net/475775532|#]] [* 스트리머 [[백곰파]]는 천만 원에 아바타를 제작했으나 퀄리티가 좋지 않아 '[[치지직/밈#s-3.1|1BGP]] = 1000만 원' 밈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워낙에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순당무]]의 [[순당무#꽃둥이 작가 3D모델 외주 먹튀 공론화|3D모델 외주 먹튀 공론화]] 등의 사건사고가 벌어지기도 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